hyungwon_kang

hyungwon_kang

Freelance Photojournalist Hyungwon Kang

10/04/2024

Cho K*k, former college professor, justice minister and now a politician, is making news in Korea.

Stay tuned!

Cho K*k, the head of the Rebuilding Korea Party shows resolve at the final rally on the eve of the April 10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Seoul, Korea.
Photo © Hyungwon Kang

#조국 #조국혁신당 #총선

15/03/2024

Visual storytelling in online lectures:

이번 주 한겨레신문 기사 입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31994.html

한겨레교육에서 준비한 제 사진강의 안내입니다. https://www.hanter21.co.kr/jsp/intro/event_khw.jsp

26/01/2024

Full Wolf Moon lights up the January 25th sky at the Griffith Observatory on Mount Hollywood in Los Angeles, California.
Photo © Hyungwon Kang

2023년 계묘년 (癸卯年) 마지막 보름달.
일 년 열두 달 중 가장 춥고 밤이 긴 달 동지섣달 보름달이 Los Angeles Griffith Observatory 천문대 주변 하늘에 떠오르고 있습니다.

#동지섣달 #보름달 #2023년 #계묘년 #癸卯年

05/12/2023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2023년 12월 6일 수요일 헤럴드경제 29면 “강형원의 insight” 전면 (full-page) 고정칼럼을 일별(一瞥)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신문애독과 구독이 우리사회의 공동체를 완성시키는 참여입니다.

https://mbiz.heraldcorp.com/view.php?ud=20231206000435

감사합니다!
강형원드림.

#강형원기자 #헤럴드경제 #저출생 #대한민국 #출생증명 #신문칼럼 #구독 #공동체

Timeline photos 29/10/2023
28/10/2023

Visual history of Korea on air:

I had a great conversation on live radio with Mr. Han Sukjoon, the host of the Gukak Radio(traditional music radio)

The Gukak Radio even played my favorite piece (Pink Floyd - Wish You Were Here).

Here’s the podcast:
제 국악방송 라디오 인터뷰 입니다.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6347/episodes/24804507

📻 한석준의 문화시대

“한번 보면 영원히 잊지 못할 장면들이 지닌 힘,
이것이 내가 사진으로 우리 문화유산을 기록하는 이유이다.”

오늘 목요 초대석, 강형원 사진기자( )와 함께했습니다.
강형원 기자의 말처럼 영원히 잊지 못할 사진을 찍으며 기록한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인데요,
L.A 폭동, 9.11 테러 등 역사의 순간에서 보고 느낀 이야기와 한국문화에 대한 시선과 애정을 생생하게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후에도 사진으로 우리 문화에 숨결을 불어 넣어주시기를 바라고 또 응원하겠습니다.

✔월요일~금요일 오전 11~12시
✔국악방송 라디오 및 스마트폰 앱 '덩더쿵'

✔다시듣기 국악방송 홈페이지 및 팟빵 '문화시대'

#국악방송 #국악방송라디오 #한석준의문화시대 #한석준 #문화시대 #강형원 #사진기자 #퓰리처상 #사진으로보는우리문화유산

28/10/2021

My Visual History of Korea column appeared in the Korea Herald in this weekend edition (Sept. 24 - 26, 2021)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0922000320

The Mungyeongsaejae (문경새재) mountain pass and all that it has seen.

For several millennia, the ancient Mungyeongsaejae mountain passage was the original gateway for travelers.

For the rest of the story and more photos:
https://www.kang.org/the-korea-herald-4

#과거시험 #객주 #보부상 #길 #선비 #조선 #조선시대 #고려 #6.25 #6·25 #한국전쟁 #임진왜란 #1592 #문경새재 ̇sonerofconsci̇ence

28/10/2021

고려시대 금속활자 출판기록은, 이미 알려진 1377년에 인쇄한 직지 훨씬 이전에 금속활자 인쇄 전통이 있었다.

고려가 몽고와 전쟁 중 수도를 강화도로 옮긴 후, 1232년 강화천도(江華遷都)때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실세였던 최이(崔怡, 1166-1249)의 명령으로 기해년 1239년 이전에 금속활자본(주자본 鑄字本)으로 찍은 책 증도가(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를 목판인쇄로 판각하여 다시 찍어낸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있는 출판후기에, "주자본(금속활자본)을 바탕으로 다시 판각(목판본으로 번각)해서 오래 전한다" 라고 기록하고있다.

그동안 영어문화권에서 잘못 알려진, 1455년 서양 최초로 금속활자 인쇄 발명술의 혁신을 가져왔던 독일의 요한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 1397~1468) 보다 무려 225여년 이전에 고려황제국에는 금속활자 인쇄문화가 이미 융성했던 것이다.

Long before printing the 1377 Jikji book with moveable metal types, Goryeo Empire had an even earlier tradition of printing books with Moveable Metal Types.

When Goryeo rulers evacuated its capital to Ganghwa Island during the Goryeo Mongol War in 1232, the military leader Choi Yi (崔怡, 1166-1249), who really was the center of Goryeo Empire, ordered re-printing of an earlier Jeungdoga book which had been printed with Goryeo Moveable Metal Printing Types, using woodblock printing in 1239. Woodblock printing (xylography) was the preferred method for printing larger numbers of books as metal types tend to get misaligned during the printing process.
A publisher's note on the last page of the Jeungdoga book says "Reprinting an earlier Metal Printing for Longevity."
For more photos and the rest of the story:
https://www.kang.org/the-korea-herald-7

#직지 #고려 #금속활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28/10/2021

Happy Hangeul Day!

Today is the 575th year since the Hangeul alphabet was invented by King Sejong the Great in 1443 and introduced to the public in 1446.

This week's "Visual History of Korea" column (https://www.kang.org/the-korea-herald-6) is on Hangeul, the Korean alphabet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cientific writing system ever invented.

While King Sejong the Great introduced Hangeul in 1443, it wasn’t until 1527 when Choi Se-jin introduced the study book Hunmongjahoe, providing each Hangeul letter its respective name, that people were able to learn Hangeul along
with Hanja characters.

Thanks to the Hanguel alphabet, Korea's literacy is highest in the world.

Photos © Hyungwon Kang

제575회 한글날을 축하합니다.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하신 한글을, "우리, 사랑, 정" 같은 아름다운 말을 글로 표현할수있게하고, 우리 문화를 완성시킨 역사적이고 과학적인 문자의 발명이었습니다. 이번주에도 "Visual History of Korea" 를 훌륭한 칼럼으로 편집하신 코리아 헤럴드 신문 편집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최세진이 1527년에 처음으로 한글 낱자에 기역, 니은 등의 이름을 붙였던 한자 학습서 훈몽자회 (訓蒙字會) 에 나온 우리 한글 모음과 자음입니다.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 되어있는 훈몽자회 (訓蒙字會) 촬영을 도와주신 전문가들에게 감사드립니다.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1007000627
#한글날 #세종대왕 #국립한글박물관 #최세진

28/10/2021

Another excellent layout by the Korea Herald staff!
Here's my weekend column for this week: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0929001059

#각궁 #角弓 #고창

28/10/2021

2년째 일가 친척이 예전처럼 못 모이는 Covid19 Pandemic 상황으로 변하고 있는 우리 오랜 전통의 제례(祭禮) 문화 를 이야기 해봅니다.

우리 문화가 다른 고대 문명들과 차별화되는 풍습 중에는 조상을 추모하는 오랜 전통이 체계화된 제례(祭禮) 문화가 있다. 우리 제례문화의 기원은 동아시아 문명의 시발점에서부터 나타난다.

우리 조상이 만든 첫 표어문자인 한자의 조상 조(祖) 자에서 왼쪽 示는 제단이나 신주를 뜻하고, 오른쪽 且은 제사지낼 제물을 종류별로 세 칸에 나눠 담는 제사 음식 그릇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고대 중국 문헌 속의 한국 역사를 연구한 이기훈 작가는 “오늘날 제사 문화가 바로 우리 민족의 조상인 은나라 사람들로부터 전해진 것”이라며 “은나라 사람들은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수천년간 이어온 이 전통은 조상을 받들고 추모하며 자손들의 우애와 단합을 도모하는 의식으로, 조상 숭배를 초월해서 유교가 정착된 조선(후조선) 시대부터는 어른을 공경하고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인성교육을 완성시키는 핵심 가치관으로 존재해왔다.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을 애초부터 거부했던 귀족들과 반대 세력들이 고려 때 이주해온 역사가 있는 제주에서는 본토와는 다른 독특한 섬 문화에서 자생된 오랜 유교적인 제사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

Traditions change but they are facing ever more challenges to change in the 21st century.

Least of which is the latest Covid19 Pandemic which forces families and extended families not to meet on traditional holidays to celebrate several millennia old traditions.

for more photos and the rest of the story:
https://www.kang.org/korea54

#제주 #추석 #차례 #제사 #전통 #조상 #후손 #추석 #한가위

28/10/2021

Visual History of Korea
Cheomseongdae observatory:

A witness to 1,400 years of celestial phenomena
Reading the celestial skies and understanding mandates of heaven has always been the exclusive domain of kings and emperors.

When Queen Seondeok of Silla became the first female ruler in Korean history, not everyone welcomed her. In fact, her 15-year reign was riddled with rebellions and wars which undermined her rule.

Queen Seondeok’s father, King Jinpyeong was the last of the Seonggol, the top aristocratic rank in Silla’s caste system.
King Jinpyeong, who held the longest reign of all Silla kings, for 54 years, had no son (in his caste) to hand over his throne.
Because the Silla caste system allowed Seonggol to marry only within their class, by the 26th King Jinpyeong, they had exhausted themselves of all male heirs as a result of the inbreeding.

The first known female ruler in Korean history had the Cheomseongdae, an astronomical observatory, built during her second year in power in 633 — perhaps to pacify the naysayers and to claim the mandate of heaven.

For more history: https://www.kang.org/the-korea-herald-3

My Cheomseongdae observatory column in the Korea Herald: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0916000321

#경주 #첨성대 #천문대 #성골 #골품제

12/09/2021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 column in the Korea Herald newspaper Weekender section:

During Korea‘s tumultuous history, the Baekje Empire had a significant presence in East Asia for about 700 years starting about two thousand years ago.

Korean civilization which is one of the world’s oldest continuous civilizations, had profound spiritu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in Dohak, or Taoism, and Buddhism during the Baekje period.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백제 금동대향로 百濟 金銅大香爐), which was excavated at an ancient temple site in Buyeo Coun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1993, is considered the epitome of the Baekje Empire‘s metalcraft and artistry.

The Incense Burner, Korea’s National Treasure No. 287, offers a fascinating window into the world of Baekje people‘s spirituality showing aspects of Buddhism and Dohak beliefs.

[Visual History of Korea]
The Baekje Empire of East Asia distilled in gilt-bronze incense burner: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0909000454

#백제 #대한민국 #역사 #왜 #倭

27/06/2021

제가 어제 뉴스 보고 놀래서 이 청원 올렸습니다.

화장실 부엌 배관공사 제대로 해서 건강을 지킵시다!
대한민국 청와대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r1hbnf

for more info:
https://www.kang.org/vent-pipe

#통관설치 #화장실사고 #황화수소

하수도 냄새 배출하는 통관 (vent-pipe) Hyungwon "HK" Kang is an accomplished Photojournalist based in Seoul, Korea, Toronto, Canada and in Washington, DC.

29/12/2020

As we bid farewell to 2020, I would like to thank everyone who helped me with generous contributions which helped finance my "Visual History of Korea" project. Your generous assistance allowed me to discover and share my findings about this ancient culture with the English speaking world.
I would also like to acknowledge those in Korea who had allowed me access to historical artifacts, National Treasures and personal space to let me produce original images.

어려움과 사연많은 2020년을 보내면서, 그동안 제가 기록해온 우리·문화·역사 Visual History & Culture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후원해주신 여러분에게 제마음으로부터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https://www.kang.org/korea

후원 계좌 농협 351-1156-2338-93
예금주: 강형원

To support Hyungwon Kang's history coverage via Zelle
please use 703-906-7587

&

To support Hyungwon Kang's history coverage via Venmo
please use 703-906-7587

Thank you!
Hyungwon

지봉스님 백중 영가 천도재 도중 "관욕 진언" 과 "작양지 진언" 업을 소멸하는 진언 (말씀) 25/07/2020

지봉 스님께서 "백중 영가 천도재" 도중 업을 소멸하는 진언 말씀중에, 입으로 지은 죄를 없애는 진언 (주문) "관욕진언" "작양지 진언" 을 영가에게 설명하는 말씀 입니다.

https://youtu.be/kh-cKnsHcdY

#지봉 #대한불교 #조계종 #경상북도 #영천 #용화사 #스님

지봉스님 백중 영가 천도재 도중 "관욕 진언" 과 "작양지 진언" 업을 소멸하는 진언 (말씀) 지봉 스님께서 "백중 영가 천도재" 도중 업을 소멸하는 진언 말씀중에, 입으로 지은 죄를 없애는 진언 (주문) "관욕진언" "작양지 진언" 을 영가에게 설명하는 말씀 대한불교 조계종 (大韓佛敎曹溪宗/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경상....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인의 형성과정과 다문화 시대의 정책 - 김병모 고려문화재연구원 이사장 14/06/2020

Science based and scholarly lecture on multi-cultural foundation and evolution of our culture in East Asia.
https://youtu.be/0N9u0CIBImc

[고려사이버대 고려특강] 한국인의 형성과정과 다문화 시대의 정책 - 김병모 고려문화재연구원 이사장 • 강의자 김병모 이사장 • 강의시간 : 1:07:28 •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졸업 영국 옥스퍼드대 문학박사 고려문화재연구원 이사장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ICOM 종신명예회원(2007) 한국고고학회 회장 역임(1993-1995) 문화...

Telephone